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87

구리/금 비율 한눈에 보기 22.07.19 구리/금 & US10Y & Fed Fund Rate 선 요약 현재 구리가 급락해서 구리/금 비율이 과하게 내려간 생태입니다. ​ 구리/금 비율 ( Copper/Gold Ratio) 침체를 반영해서 인지 최근 하락 전환 한 모습 미국채 10년 수익률 (US10Y) 구리/금만큼은 아니지만 최근 기대 수익률이 많이 하락해서 채권 가격이 꽤 반등했었죠 미국 기준 금리(Fed Fund Rate)와 10년 수익률 차이 금리는 오르는데 시장의 채권 수익률은 내려가니 금리 스프레드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 전체 흐름을 지금의 단편적 시각으로 볼 수는 없겠지만, 구리/금 비율만 과하게 하락한 걸 봤을 때 ​ 지금 금리 인상에 생각해 본 시나리오는 ​ 금이 하락, 구리가 상승하여 구리/금 비율이 원래 자리를 찾아가거.. 2022. 7. 19.
월간 지표 요약 Bitcoin과 Ether 는 모두 하락세를 지속했습니다. 11월 9일 이후 두 코인은 각각 가치의 72%와 80%를 잃었습니다. ​ ​ 채권 수익률 은 6월 14일에 정점을 찍었고 종종 금리의 선행 지표 역할을 하는 구리/금 과 함께 약간 하락되었습니다. ​ ​ 단기 수익률이 장기 수익률을 따라잡고 있습니다. 3월에 이미 역전된 수익률 곡선의 긴 끝 이후 10년-1년과 2년-1년 사이의 스프레드도 이제 마이너스 전환에 가깝습니다. ​ 지난 몇 달 동안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 은 예상 인플레이션율 보다 빠르게 상승했습니다. 실질 수익률의 이러한 상승은 금 가격에 부정적입니다. ​ 은은 금보다 더 빨리 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종종 미국 달러 지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금/은 비율이 상승했습니다. ​ 은과.. 2022. 7. 17.
Volatility Drag Harvesting TEST 근황(22.07.15) 목표 티커들 수익률 NRGU-XLE 비교는 구성종목부터 다르기 때문에 올바른 비교는 아니지만 이건 개인적으로 보는 부분입니다. 최근 정유, 반도체가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하방 Vol Drag가 커진 게 눈에 띄네요 ​ ​ 근황 요약 - 추세의 전환과 지속적인 변동성 장세가 계속되어 손실이 커진 모습이 보입니다. - 하지만 장기적으로 추세의 방향성을 가진다면 수익이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그러므로 실험은 이어집니다. - 다만 장기적으로 횡보의 방향성(잦은 추세의 전환)이 발생한다면 물론 손실이 발생합니다. ​- 추세 전환 및 지속성을 생각해서 리밸런싱 타이밍 또한 생각해 봐야 할 것 같습니다. ​ 결국 Vol Drag를 취하는 전략이라는 게 추세, 방향, 변동성을 바라보는 전략이라는 .. 2022. 7. 17.
투자 원칙: 항상 업에 베팅하지 마십시오 배경 : 저는 제 인생 주기의 한 단계에 있어서 저에게 도움이 되는 원칙이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전하고 싶습니다. 저는 제 인생의 대부분을 글로벌 매크로 투자자로 보냈기 때문에 제 투자 원칙을 알려줌으로써 여러분이 잘 투자할 수 있도록 돕고 싶지만 여러분의 투자 고문이 되고 싶지는 않습니다. "물고기"보다 ". 나는 당신에게 간단한 게시물과 보고서를 제공함으로써 그렇게 합니다. 변화하는 패러다임 에 대한 내 게시물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것은 변화하는 세계 질서(내 책과 비디오에 설명되어 있음)의 결과입니다. 왜냐하면 지금 시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은 이러한 일들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우리는 1) 돈이 타이트할 때 실제 가격이 하락하고 2) 돈이 풀릴 때 인플레이션.. 2022. 7. 16.
22.07.15 TLT 분석(미국 장기 채권 ETF) TLT 구성 채권 목록 ​ 현재 구성 채권들을 보면 30년 ~ 20년 채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0년 만기 보유에서 20년 만기가 되면 매도 후 다시 신규 채권 매입하는 구조라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현재 미국 채권 일드 커브 현재 TLT의 가격은 낮은 30년 금리에 사서, 높은 20년 금리에 파는 구조로 반영돼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채권 롤링 효과를 생각한다면 지금 TLT의 요구 수익률은 많이 낮아져 있다고 생각합니다. ​ 정리하면 여기서 TLT의 가격이 오르기 위해서는 한 달 전과 지금의 경우처럼 채권 시장의 자체적인 수익률이 낮아져야 합니다. 20년물의 금리가 올라야 합니다. 30년물의 금리가 내려야 합니다. ​ 여기서 침체를 지속적으로 반영해서 시장의 요구 수익률이 더욱 낮아지는 게.. 2022. 7. 16.
2022.07.13 한은 기준금리 50BP 인상 '빅스텝', 한미 금리 예상 비교 한국은행이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에서 금리를 50BP(0.5%) 빅스텝 인상하기로 했습니다. ​ 이로써 1.75% -> 2.25%로 금리가 올랐습니다. ​ 미국이 앞으로 남은 FOMC에서 금리를 75, 50, 25, 25 BP 올린다고 가정한다면 한미 금리차는 아래 표처럼 예상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앞으로 25BP만 인상할 경우 앞으로 2번 50BP 인상할 경우 개인적인 생각으론 금리를 앞질러 가는 건 여력이 안될듯하고 ​ 그렇다고 금리가 뒤처질 수는 없으니 2번째처럼 한 발짝씩 뒤쫓아 가는 느낌으로 인상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2. 7. 13.
2022.06.28 USDA 기후작황보고서 http://www.krei.re.kr:18181/board/weather_trend/view/wr_id/6689 6월 28일 USDA 기후작황보고서 ​ □ 농업 현황 요약 (6/20-6/26) 전국 대부분이 평년보다 더 건조한 상태를 유지했으며 미네소타와 남서부의 많은 부분들에 내린 주간 강수량은 평년 대비 최소 두 배였다. 대서양 중부와 남동부에 있는 일부 위치들은 물론이고 중서부, 평원들, 로키산맥의 일부에도 평년 대비 최소 두 배의 비가 내렸다. 미네소타의 일부 지역은 4인치 이상의 강우량을 기록했다. 한편, 오대호, 대평원, 미시시피 계곡, 태평양 연안, 남동부의 대부분은 평년보다 높은 주간 기온을 기록했다. 미시간, 미네소타, 노스다코타, 오클라호마, 위스콘신의 여러 곳들에서 평년보다 9°F .. 2022. 7. 9.
워렌버핏 ( 버크셔 해서웨이 ) OXY( 옥시덴탈 페트롤리엄 ) 추가 매수 공시 07/05~07/06 https://occidentalpetroleum.gcs-web.com/static-files/84f3f7a2-35b3-4b64-b5e2-cde940cf928b ​ 7월 5일 ~ 7월 6일 ​ 보통주 12,042,470주 평균 단가 57.9431$ ​ 69,778만 달러 (약 9070억) 매수함 ​ 인수 할때까지 매수 할거같습니다. 2022. 7. 8.
장단기 금리차 하락 중 10년 물, 3개월 물 장단기 금리 차이 하락 중 2년 물과 10년 물 금리차는 이미 낮아진 상태지만, 3개월 물과 10년 물의 차이는 버티고 있었습니다. ​ 하지만 최근 3개월 물과 10년 물의 금리차도 하락 국면에 접어들고 있습니다. ​ 3개월과의 차이마저 내려가고 있다는 건 침체 우려가 정말 커지고 있다고 보는듯합니다. ​ 앞으로 유심히 지켜봐야 할 거 같습니다. ​ ​ 그 외 금리 지표도 같이 보도록 하겠습니다.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 현재 6% ​ 실질 금리 (기대인플레) 실질금리 현재 0.52% 2022. 7. 8.
유럽연합(EU), 그린 택소노미에 천연가스, 원전 포함 확정 EU '택소노미' 가스·원전 포함, K택소노미에 어떤 영향? - 이코리아 [이코리아] 유럽연합(EU) 의회가 5일(현지시간) 녹색분류체계(Green Taxonomy·그린 택소노미)에 천연가스와 원전을 포함시키는 것을 확정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외신에 따르면 EU의회는 이날 www.ekoreanews.co.kr “EU, 녹색분류체계에 가스·원전 포함 결론… 국내 파장 ‘주목’” - 에너지데일리 [에너지데일리 변국영 기자] 유럽연합(EU)이 논란을 거듭한 녹색분류체계(택소노미)에 가스와 원전을 포함시키는 것으로 최종 결론을 내려 그 파장이 주목되고 있다.특히 EU의 이러한 선택은 국 www.energydaily.co.kr 유럽연합(EU) 의회가 5일(현지시간) 녹색 분류체계(Green Taxonomy.. 2022. 7. 8.
2022.07.05 한국 소비자물가 지수 발표 (6%...) 이번 금리 인상 때 최소 빅스텝 이상은 해야 될 거 같습니다. 2022. 7. 5.
2022.07.05 한국 외환보유고 발표 (94억 달러 감소) 작년 말 기준으로 30B$ (300억 달러) 감소했네요 2008 스와프가 300억 달러 / 2020 스와프가 600억 달러였던 걸 생각하면 6개월 만에 엄청난 감소치 같습니다. 미국 대폭 금리 인상과 한국의 소폭 금리 인상으로 외국자본 유출이 빠르게 이어지고 있는듯합니다. 2022. 7.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