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담11

아연 공부 (재고 부족 & 쇼티지 가능성) Zinc Dropped As Trade Remained Lacklustre Due To The Chinese New Year Holidays 높은 전력값 → 아연 제련소 닫음 → 생산 감소 → 재고 감소 (LME 재고 30년 최저 도달) (=계속 있어왔던 이슈) 중국 리오프닝 → 기대감 투기수요 증가 → 가격 상승 (최근 가장 큰 영향이 아닐까 생각함) 우려 사항 1. 중국 리오프닝으로 인한 감염자 급증 2. 기대에 부흥하지 못하는 중국의 낮은 수요 + 춘절 연휴 간 낮은 수요 3. 낮아진 전력값이 안정화된다면 제련소 공급 재개 기대 U.S. worker shortage denting Freeport-McMoRan's copper output 노동력 부족 → 생산력 저하 → 공급 부족 (계속 있어왔던 이.. 2023. 1. 30.
벌크 운임 지수와 주식을 비교해봤습니다. BDI로 보고싶었지만, 엑셀데이터 제공하는곳을 못찾아서 해양진흥공사가 제공하는 KDCI Index로 비교했습니다. 근데 비교 자료 보면 BDI와 큰 차이는 없어서 괜찮을거같습니다. 벌크 주식은 ETF가 없는데, 아는 주식도 얼마 없어서 간단하게 SBLK, EGLE, GOGL, GNK 4개를 동일가중해서 합성 ETF를 만들었습니다. 보다싶이 차이가 거의 없습니다. 운임지수와 합성ETF의 5년 데이터 입니다. 2023. 1. 8.
블로그 글 정리 반복성 게시글은 티스토리가 권장하지 않는 종류더군요 뉴스성 & 반복성 글은 앞으로 네이버 블로그에 게시하도록 하겠습니다. 티스토리는 드문드문 생각이나, 정리할 글들을 올리는 방향으로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2022. 12. 25.
기술 지표 하향돌파 전체적으로 하락 추세로 접어들었네요 ​ 2022. 12. 16.
Vol Drag 간편 계산 그리고 기술 지표 Vol Drag는 투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기술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간단하게 설명하면 기하 수익률과 산술 수익률 간의 변환 과정입니다. ​ 일자별 가격 테이블만 있으면 누적 손익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기술지표를 일일이 차트 확인해가며 보면 불편할 테니 간단하게 테이블로 예제 삼아 만들어 봤습니다. 나중에 퀀트식 트레이딩을 할 게 아니라면 쓸일 있겠냐마는 한눈에 보기 편하기도 하고 재미 삼아 만들어서 쓸만한 곳이 언젠가 오면 좋겠네요 2022. 12. 14.
국채 금리와 CDS 프리미엄 국채 금리와 CDS가 최근 반대로 가는 모습이 보이는데 개인적으론 환개입과 채권 매입으로 인한 괴리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2022. 11. 7.
11.03 FOMC 이후 금리 스프레드 선도금리 스프레드를 확인하기 위해 편의상 2Y-3M 스프레드를 사용함 나중에 기회가 되면 이 부분은 따로 설명글을 작성할 생각입니다. ​ 연준의 발언은 금리를 인상할 것이고, 인플레를 잡는 것에 초점을 둔다고 했습니다. = 실질금리를 올릴 것 따라서 금리 인상이 더 필요하단 것을 시장이 느꼈을 것이고 이 부분에 대한 압박이 선도금리 스프레드에 반영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프레드는 상승 추세에 있으면서 최근 10년물 금리와(US10Y) 반대의 추세를 보였는데 이번에 이 괴리를 좁히기 위해 상승할 것이라고 기본 전제를 두겠습니다. ​ 1. 2y-3m : 상승 할것 같음( 스프레드 추세 + FOMC 발언 금리 인상할 것, 인플레 잡아야 함(실질금리 올릴 것) ) → 2y 상승 해야함, 3m 하락 or 횡보 .. 2022. 11. 3.
금광주 숏 (GDXD) ​ 금은 물가연동채권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실질금리를 따라갑니다. ​ 1. 최근 실질금리가 하락한 상태였고 2. 금의 상승보다 주식인 금광주가 더 많이 오른 상태였습니다. ​ 앞으로 있을 금리 인상으로 연준(FED)는 실질금리의 상승을 원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따라서 실질금리는 올라야 하므로 금이 하락할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생겼습니다. (+ 실질금리의 하락분 만큼은 다시 회귀할 여력도 있기 때문에) ​ 추가로 주식도 하락할 리스크가 켜졌기 때문에 주식의 하락에 대한 헤지가 필요했습니다. ​ 따라서, 금 하락과 주식 하락을 같이 대비할 대안이 필요했고 금 + 주식의 성격을 가진 금광주를 숏포지션으로 가져가는 대안을 마련했고 ​ 이번 리스크 헤지포지션으로 Vix와 함께 GDXD를 가져가기로 결정했습니다. ​ .. 2022. 11. 3.
최근 달러 인덱스와 유동성 최근 달러 인덱스가 많이 하락하며 타국 통화의 환율 상승이 있었습니다. ​ 보통의 경우라면 달러 유동성이 증가함과 같이 인덱스가 하락하며 이런 현상이 발생하지만 ​ 지금은 다른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 그 이유로 최근 금&은의 퍼포먼스가 최근 달러 급락에 비해 좋은 수준이라고 보긴 힘들고 ​ 최근 BEI는 오히려 감소하고 있으며 실질금리는 크게 하락하지도 상승하지도 않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 그래서 유동성 자체의 증가보다는 환개입의 영향이 아닌가 싶습니다. 미국장의 상승이 주춤하는 그림에도 유럽과 일본의 증시가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면 더욱 그런 생각이 듭니다. ​ 그리고 구리, 알루미늄 비철금속의 상승이 돋보이는 모습인데 최근 중국의 개방의 흐름이 보이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 2022. 10. 27.
인플레이션과 화폐수량설(MV=PY) 화폐수량설에 의해서 인플레이션이 결정되니 긴축에 인플레이션이 해결될 것이라는 글을 봤습니다... ​ 화폐수량설 MV = PY에 대해서 잘 몰랐기 때문에 이번에 공부해 보았습니다. 차트도 그럴듯해 보여서 순간 혹했습니다. CPI가 긴축에 들어가면 잡히는 건가... 생각이 들어서 공식을 풀어 정리해 보니 ​ MV = PY → △M + △V = △P + △Y ​ M = M2 P = CPI Y = Real GDP V=GDP/M2 ​ △Real GDP = △GDP - △CPI △V=△(GDP/M2) = △GDP - △M2 ​ △CPI + △Real GDP = △GDP △V + △M2 = △GDP - △M2 + △M2 = △GDP ​ 식으로 정리해 보니 그냥 둘 다 GDP를 나타내는 지표더군요... GDP 추가해 .. 2022. 9. 30.
가벼운 주제 잡담 카테고리 추가 생각 주저리는 간단하게 떠오르는 생각 정리 용으로 쓰고 보다 가볍게 올릴게 필요하다고 생각해서 추가했습니다.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가 다시 벌어지기 시작했고 ​ VIX의 특이사항으로 장 중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감소하면서 빅스가 튀는 상황이 연출됨 ​ 채권 10년물 금리가 4% 직전까지 올랐고 4%에 비중 축소를 할 예정이었으나 ​ 지금 채권 숏 비중을 줄이기로 결정함 ​ 러시아 노드스트림 2 Leak 반사이익으로 VET가 10% 상승 마감함... 최근 반 토막 난 TTF 천연가스도 19% 상승ㄷㄷ ​ 반면 천연가스는 하락한 게 아이러니한 그림... ​ 슬슬 프리포트 재가동 시즌과 허리케인이 시즌이 오고 있기 때문에 축소한 비중을 일부 가스로 가져가는 걸 고려 중 2022. 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