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5

청년 소득 공제 펀드 세액 계산 ‘3년 최대 720만원 공제’ 청년형 소득공제 펀드 나온다 금융당국이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출시에 속도를 낸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최근 신년 업무보고에서 1분기(1∼3월)에 은행, … www.donga.com 가입조건 나이 : 만 19~34세 청년 소득 : 개인 소득 5000만 원 이하 (세후 or 세전 확인 필요할듯합니다.) 가입 기간 : 3~5년 혜택 연 최대 600만원 납입, 40% 소득 공제 (최대 240만 원) 3~5년 가입 시 720만 원 ~ 1200만 원 소득 공제 3. 세액 계산 과세 표준 구간 (올해부터 바뀌었습니다.) 5천 이하 소득의 경우 보통 15% 세율이 적용될 테니 15%를 기본 전제로 하겠습니다. 연 600만 원 납입 : .. 2023. 2. 4.
증권사별 주식 담보 대출/신용 융자 이자율 정리 (파일 첨부) 2022.09.25 기준으로 만들어진 자료입니다. 증권사 이름 검색 가능합니다.(Ctrl + F) 키움 미래에셋 한국 투자 (한투) 삼성 KB 메리츠 NH 하나 신한 한화 대신 전체 사진 클릭하면 원본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사진으로 저장할 수 있게 첨부합니다. ​ 전부 실시간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구글 시트로 크롤링 작업을 거쳤습니다. ​ 삼성, 신한의 경우 크롤링이 불가능하여 직접 데이터를 작성하였습니다. ​ 증권사별 데이터 양식에 맞춰서 작성되었기 때문에 양식이 통일되지 못한 점 양해 바랍니다. ​ 대형 증권사 위주로 만들었습니다. ​ 증권사 목록 : 미래에셋, NH, 한국 투자, 삼성, KB, 하나, 메리츠, 신한, 키움, 대신, 한화 2022. 9. 25.
사적연금 건강보험 부과 보도 공식 답변 https://www.chosun.com/opinion/desk/2022/08/11/FGSVQRLGGVFDDM7DIHMXM64IJA/ 사적연금 건보료 부과 검토로 논란이 있었는데 ​ 보건복지부에서 보도설명으로 공식 답변이 나왔습니다. 기사 주요 내용 ○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공단이 사적연금에 대한 건강보험료 부과를 검토 중 ○ 사적연금에 대한 건강보험료 부과는 가입자의 연금 일시금 수령 선호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음 설명 내용 ○ 정부는 현재 국회 여야 합의안을 바탕으로 마련한 2단계 건강보험 부과체계 개편안의 9월 시행을 목표로 추진 중임 - 해당 개편안은 ’17년 당시 국회, 정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여 충분한 기간 심도 있게 논의하여 마련한 것이며 해당 개편안에 사적연금에 건강보험료를 부과하는 방안.. 2022. 8. 12.
청년희망적금 예금담보대출 활용 전략 은행의 적금 금리가 5.5% / 정부 지원금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률이 대략 4% 총 수익률은 9.5% 정도 국민은행 기준 예금담보대출 금리 6.75% (5.5+1.25%) ​ 사실상 담보대출의 실질금리가 1.25%이고 정부 지원금으로 인해 발생하는 수익률을 차감한다면 2.75% 안전마진이 깔립니다. ​ 이 안전마진의 덕분에 그냥 현금으로 투자하는 것보다 그 현금으로 적금 들고 담보대출해서 투자하는 게 오히려 이득인 상황이 발생합니다. ​ 대출 가능 금액이 95%라서, 전액 대출을 가정할 때 5%의 현금으로 2.75%의 마진이 남는다는 건데, 기존 100% 현금과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 100% 현금으로 9.5% 수익 => 실질 수익률 9.5% (9.5/100 = 9.5%) 5% 현금으로 3.09% 수.. 2022. 8. 6.
연금계좌 세액공제 한도 상향 & 투자 절세 방법 올해까진 기존 현행법으로 적용되고 내년부터 개정안으로 적용됩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 금액 상승 현행 : 400만 x (15%+1.5%) = 66만에서 개정 : 600만 x (15%+1.5%) = 99만으로 ​ 세액공제 금액이 33만 원 상승했네요 ​ 퇴직연금은 300만(300 x (15%+1.5%) = 49.5만) 그대로인듯합니다. ​ ( 공제 전 근로소득 5500만 원 이하 기준 ) 연금 소득세 완화 연금수령액이 1,200만 원을 초과하면 다른 소득과 합쳐 종합 과세하고 있는 현행 세제를 개선해 분리과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 Ex) 사적연금소득이 1,800만 원이고 사업소득이 9,000만 원이 있는 수령자의 경우 ​ 현재 : 종합과세로 35%의 소득세율이 적용돼 630만 원(1,800만 원×3.. 2022. 7.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