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표/구리:금 비율

구리/금 비율 한눈에 보기 22.07.19

by vcx1880 2022. 7. 19.
728x90

구리/금 & US10Y & Fed Fund Rate 선 요약

현재 구리가 급락해서 구리/금 비율이 과하게 내려간 생태입니다.

구리/금 비율 ( Copper/Gold Ratio)

침체를 반영해서 인지 최근 하락 전환 한 모습

미국채 10년 수익률 (US10Y)

구리/금만큼은 아니지만 최근 기대 수익률이 많이 하락해서 채권 가격이 꽤 반등했었죠

미국 기준 금리(Fed Fund Rate)와 10년 수익률 차이

금리는 오르는데 시장의 채권 수익률은 내려가니 금리 스프레드가 점점 줄어들고 있습니다.

전체 흐름을 지금의 단편적 시각으로 볼 수는 없겠지만, 구리/금 비율만 과하게 하락한 걸 봤을 때

지금 금리 인상에 생각해 본 시나리오는

  1. 금이 하락, 구리가 상승하여 구리/금 비율이 원래 자리를 찾아가거나
  2. 채권 수익률이 더욱 하락하거나(금리 스프레드가 0에 근접한 수치까지)

개인적 생각으로는 금리가 인상하니 채권 수익률 하락은 가능하지만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침체 시기에 0에서 일시적 마이너스가 된 거처럼)

시장이 침체를 반영하고 있으니 추세가 이어진다면 구리 가격의 상승 또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금의 가격의 하락이 제일 가능성 있어 보입니다.

금의 가격은 인플레이션을 반영해서 그런지 하락하지 않고 잘 버티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어서 작성할 실질금리와 금의 추세를 보면 금의 가격이 실질금리를 따라가지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지속적 금리 인상과 인플레 피크 아웃의 논리가 반영될 때 지표가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