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금은 물가연동채권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실질금리를 따라갑니다.
1. 최근 실질금리가 하락한 상태였고
2. 금의 상승보다 주식인 금광주가 더 많이 오른 상태였습니다.
앞으로 있을 금리 인상으로 연준(FED)는 실질금리의 상승을 원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따라서 실질금리는 올라야 하므로 금이 하락할 것이라는 시나리오가 생겼습니다.
(+ 실질금리의 하락분 만큼은 다시 회귀할 여력도 있기 때문에)
추가로 주식도 하락할 리스크가 켜졌기 때문에 주식의 하락에 대한 헤지가 필요했습니다.
따라서, 금 하락과 주식 하락을 같이 대비할 대안이 필요했고
금 + 주식의 성격을 가진 금광주를 숏포지션으로 가져가는 대안을 마련했고
이번 리스크 헤지포지션으로 Vix와 함께 GDXD를 가져가기로 결정했습니다.
다행히 오늘은 무난한 결과가 나왔지만,
헤지 포지션 비중을 크게 가져간 것은 아니라서 포지션 손실을 피할 순 없었군요
결과론적 이야기지만 포지션 헤지와 베팅에 있어서
그 리스크를 생각해서 변동성을 버틸만한 적정 비중을 잘 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때론 확실한 자리라면 손익비를 생각하여
어느 정도 과감까진 아니라도 손익을 준수하게 거둘 정도의 베팅이 필요했다고 생각되는 아쉬움이 남습니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채 금리와 CDS 프리미엄 (0) | 2022.11.07 |
---|---|
11.03 FOMC 이후 금리 스프레드 (0) | 2022.11.03 |
최근 달러 인덱스와 유동성 (0) | 2022.10.27 |
인플레이션과 화폐수량설(MV=PY) (2) | 2022.09.30 |
가벼운 주제 잡담 카테고리 추가 (0) | 2022.09.28 |
댓글